“전기산업도 국가전략기술 세제지원 대상에 포함해야”
상태바
“전기산업도 국가전략기술 세제지원 대상에 포함해야”
  • 윤우식 기자
  • 승인 2021.09.01 18: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기산업계, 3대 기술 외 전기 등 연관 산업 확대 주장
친환경 전기기기 신성장 탄소중립 기술 범위에 넣어야
SF6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개폐기.

SF6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개폐기.

정부가 최근 반도체·배터리·백신 등 3대 국가전략기술의 R&D 및 시설투자에 대해 향후 3년간 1조 1600억원 규모의 세제지원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전기기기 등 연관 산업까지 지원을 확대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구자균)를 중심으로 한 전기산업계는 1일 3대 국가전략기술에 대한 정부의 세제 개편을 환영한다면서도 국가전략기술의 범위가 특정화돼 공급망 주도권과 대외 영향력 확대 목표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전 세계적으로 투자 경쟁이 치열한 상황에서 국가 기간산업인 전기산업 분야에 대한 세제지원이 이뤄질 경우 관련 R&D와 시설 확충을 위한 투자 여력 확보와 산업 활성화 측면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기산업계는 특히 배터리 등의 공급 능력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연계산업의 연구개발(R&D)이 뒤따라야 하는 만큼 전후방산업 파급효과가 크고 고도로 분업돼 있는 산업 생태계가 함께 성장해야 실효성 확보가 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최근 신재생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강화로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 성장이 가속화하고 있는 가운데, 시장조사기관 QY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ESS 시장은 지난해 46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26.9% 성장해 2026년 24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ESS는 배터리를 포함해 저장 장치의 전력과 계통 간의 특성을 맞춰주는 전력변환장치(PCS)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 등이 필수적으로 수반되는 종합 시스템 산업이다. 이에 ESS 연관기업에 대한 균형 있는 기술투자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와 함께 PCS(전력변환장치) 같은 시스템 통합(SI)에 투자한 업계에도 R&D 및 세제지원이 이뤄지고 국가전략기술로 동반 지정하는 조치가 필요하다는 게 전기산업계의 시각이다.

전기산업계는 또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전기산업 특성에 맞는 디지털 융합 등 차세대 신기술 적용, 고효율화·친환경화·고부가가치화를 통한 생산구조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가 필연적이기 때문에 이 부분에 대한 세제 혜택도 함께 확대해 줄 것을 요구했다.

전기산업계는 그동안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 설비효율화, 공정개선, 신규설비 도입을 통한 에너지 효율화, 재생에너지 확대 등의 에너지 전환, 냉매 및 SF6(육불화황) 감축 등을 위한 R&D 투자와 실행 전략을 마련해왔다.

이와 함께 탄소중립형 친환경 절연소재 기반 전기기기 기술개발과 함께 전동기 효율향상 설계 및 제조 기술개발 등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도가 높은 현장 특화기술을 중심으로 탄소저감 R&D 전략 핵심과제를 발굴해 추진 중이다.

SF6 가스를 사용하는 전력기기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은 연간 약 196만t으로 탄소 저감형 친환경 절연소재를 개발할 경우 2030년까지 130만t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 또 전동기 효율향상 설계 및 제조기술을 확보하면 전력사용량 절감을 기준으로 총 783만t 정도의 이산화탄소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구자균 전기산업진흥회장은 “독일이 첨단기술전략 2020의 5대 핵심 기술개발 분야에 이산화탄소 저감 및 에너지 효율화, 지능형 에너지 공급시스템, 신재생에너지 등 기후·에너지 분야를 포함한 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며 “생태계 전반의 친환경화 기술을 통한 탄소중립이 필요한 상황에서 정부가 신성장·원천기술에 대한 시설투자 세제지원 시 탄소중립 기술을 크게 확충한다면 전기산업계의 경쟁력이 한층 업그레이드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기진흥회 관계자는 “전기산업은 AI, IoT, 빅데이터 등의 기술 발전과 융·복합화 패러다임 전환에 부합되는 산업으로 국가의 전력품질을 결정하는 핵심 기자재 공급 및 유지 보수를 담당하고 있다”며 “친환경 기기 개발 및 ESS 등 에너지 신산업 분야에 대한 R&D 투자가 활성화되고 세제지원 등의 동기부여가 있을 경우 국가 기반시설인 전력 인프라를 보호하고 전력 효율을 향상시켜 에너지 절감 및 온실가스 감축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산업계는 주요 국가들이 에너지 안보 확대와 경기 부양에 나서며, 세계 전기산업 분야에 2035년까지 약 22조 달러 규모의 투자가 이뤄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우리도 K-일렉트릭 산업의 글로벌화 및 차세대 성장동력을 확보해 2030년 세계 5대 전기산업 강국 달성을 위해서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